총 인원을 계산할 때는 '컨트롤 원본'에 =count(*)을 입력하면 된다.
=count(*)
쉽쥬~? 그냥 저것만 외우면 돼유.
count 안에 어떤 필드를 넣으면, 해당 필드가 공백인 경우엔 갯수를 셀 수가 없다.
예를들면, 핸드폰 갯수를 기준으로 학생 수를 센다고 해보자.
핸드폰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은 학생 수에서 빠지게 된다.
그럼 정확한 학생 수를 파악할 수가 없다.
count(*)을 하면 공백인 필드의 수도 세어준다.
그냥 외우자. 총 인원은 =count(*)이다.
'자격증_컴퓨터활용능력시험 1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활 1급_실기]액세스_매크로 명령 모음 (0) | 2021.08.13 |
---|---|
[컴활 1급_액세스]함수 모음 (0) | 2021.08.13 |
[컴활 1급_실기]액세스_컨트롤에 입력하는 값에 연결된 다른 값 찾아오기_D함수 (0) | 2021.08.13 |
[컴활 1급_실기]액세스_조회 속성 변경하기(콤보상자) (0) | 2021.08.13 |
[컴활 1급_실기]액세스_데이터 형식 (0) | 2021.08.13 |